information

[오퍼레이션관리] 생산성의 유형

붕둥구리 2020. 5. 16. 09:14
반응형

생산성은 국가, 산업 또는 사업 단위가 자원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이다. 가장 광범위한 생산성의 정의는 투입 대비 산출이다. 

 

생산성= 산출/투입

 

생산성의 유형은 측정 대상, 내용, 방법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. 

 

1. 생산성 정의의 분자가 되는 ‘산출’에 따라서 생산성을 구분한다. 산출을 물량기준으로 할 때 물적생산성이고 금액기준으로 할 때에는 가치생산성이 된다. 

 

예를 들어,

물적생산성 = 1인당 생산량 = 제품생산량/종업원수

가치생산성 = 1인당 생산액  = 제품생산액/종업원수

 

2. 생산성의 정의의 분모가 되는 ‘투입’에 따라서도 생산성이 구분된다. 투입을 단일 생산요소로 하면 요소생산성이고 전체 생산 요소로 하면 총요소생산성이다. 요소생산성은 투입되는 생산 요소별로 산출을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. 노동생산성(산출/노동) 혹은 자본생산성(산출/자본) 을 요소생산성의 예로 들 수 있다. 노동생산성을 따질 때, 자본장비율이 높거나 물적 수단의 영향이 높은 경우에는 산출에서 이들을 제외할 필요가 있다. 이것을 흔히 부가가치생산성이라고 한다.

 

부가가치생산성 = 부가가치/종업원수

총부가가치 = 매출액 - (재료비 + 외주가공비 + 동력비 + 소모품비)

순부가가치 = 순이익 + 노무비 + 지대 + 이자 + 조세공과

이렇게 나타낼 수 있다. 요소생산성은 자본비율의 큰 영향 없이 경영의 생산성을 평가할 수 있다. 

 

하지만 요소생산성은 한 가지 생산 요소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전체 생산 요소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. 이를 극복한 개념이 총요소생산성이다.

 

총요소생산성 = 부가가치 / (투입노동 + 투입자본)

 

부분생산성은 생산에 각 투입 요소에 관련되는 생산성으로 노동생산성이나 자본생산성과 같은 요소별 생산성을 예로 들 수 있다. 부분생산성에 대하여 종합생산성이라는 개념이 있다. 종합생산성은 모든 투입과 전체 산출의 비율이다. 

 

종합생산성 = 총산출/총투입 = (매출액 또는 생산액)/(노동+자본+자재+서비스)

 

출처 : 김대철, 김승철, 윤채홍, 이창원, 생산운영관리 (Introduction to Operations Management), 한경사, 2017

반응형